교정치료와 턱관절 통증의 연관성

2025.05.19

조회 36

이 병원의 관련 치료상품

치아교정 상담_이미지

치아교정 상담

20,000

부정교합이 있으면 턱관절 통증이 생기나요?

왠지 교정치료를 받고 나서 턱관절이 아픈것 같아요

오늘은 교정치료와 턱관절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일단 턱 주변에는 수많은 근육과 신경으로

이루어진 '저작계'가 존재합니다.

음식을 씹고 맛보고 삼키고 발음하는데

필요한 뼈, 근육, 신경, 관절 등을 포함합니다

이러한 저작계가

외상, 과도한 사용, 교합간섭, 비정상적 습관 

등으로 인해 조화롭게 작동하지 못하게되면

턱관절 통증이나, 모래갈리는 소리, 

개구장애, 턱관절 경련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턱관절 질환은 인구의 50~60%가 겪고 

있다고 알려져 있을 정도로 흔한 질환이니 

너무 걱정 안하셔도 괜찮습니다.

​

저도 입을 크게 벌리거나 무리하고나면

턱관절에서 딱딱 거리는 소리가 나지만

아프거나 하지 않기 때문에 그냥 지내요^^

턱관절 질환(temporomandibular disorder, TMD)은 크게 

턱관절 주변 근육의 염증성 질환과 

턱관절 디스크 내의 질환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근육 관련 질환은 

턱관절 주변에 존재하는 씹는데 사용하는 

근육들이 잘못된 습관, 과도한 사용 등 

여러 원인으로 인해 무리를 하게되어

염증이 생기게 되고 흔히 

'근육통'이라고 표현하는 통증이 생겨서

나타나는 질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 몸의 다른부위에 생기는 근육통과

마찬가지로

적절한 마사지와 온찜질, 

심하게 되면 근육이완제와 같은 약물로

증상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

턱관절 디스크 질환인 경우

턱관절 자체의 통증이 느껴지거나 

입을 벌리고 다물때 모래갈리는 소리,

혹은 딱딱 터지는 소리가 들리거나,

심하면 턱이 빠지는 경우도 생깁니다.

​

턱관절 질환인 경우 가까운 치과를 방문하여

약물치료와 더불어 턱관절장치를 이용한

적극적인 치료를 받아야 상태가 악화되는걸

방지할 수 있습니다.

부정교합이 심하면 턱관절 질환이 더 잘 발생할까요?

부정교합과 턱관절 질환자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부정교합 환자의 비율이 턱관절 질환자의

비율보다 압도적으로 많은것으로 나타나며

두 질환자 사이의 상관관계가 낮은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악골의 비대칭이 심하여 턱을 다물때

틀어서 물게되는 특이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경우 부정교합과 턱관절 이상의 

연관성은 낮다고 볼 수 있습니다.

​

교정치료를 받고나서 턱관절 질환이 생긴것 같아요.

교정치료와 턱관절 질환 사이의 

유병률에 관해 오래전부터 

논쟁이 있어 왔습니다.

또한 몇몇의 연구에서 이 둘 사이의 연관성이

존재하며, 교정치료가 턱관절질환을

악화시킨다는 결론을 내기도 했습니다.

​

하지만!

최근의 대다수의 연구에서는

교정치료와 턱관절 질환 사이의 상관관계가

매우 낮은, 서로 독립적인 관계라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

다만, 교정치료를 처음 시작하게되면

치아의 이동으로 인하여 

교합이 불안정하게되고

이때 일시적으로 저작계의 불편함과 통증을

일으킬 수는 있습니다.

특히 교정치료 전 턱관절질환을 겪었던

사람의 경우 그 확률이 더 커집니다.

이는 일시적인 증상이며, 대부분의 경우

호전됩니다.

시간이 지나도 개선되지 않을 시 

교정치료를 잠시 멈추고 턱관절 안정장치를

이용하여 턱관절을 안정화시키고 진행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발치교정은 턱관절질환을 야기시킨다?

교정치료중에서도 특히 소구치를 발치하여 교정하였을 경우와

소아 교정시 주걱턱을 교정하기 위하여

친컵(chincup)과 같은 장치를 이용할때

턱관절 증상이 생긴다는 이야기가 많이 

존재했었습니다.

​

최근의 다양한 연구에서 발치교정과 턱관절질환은 큰 연관성이 없다는 결론이 많았고

친컵 사용시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턱관절

통증은 잠시 장치를 착용하지

않는것만으로도 충분히 증상이 개선되므로

너무 염려하지 않으셔도 좋습니다.

​

결론

긴 교정치료 기간을 버텨가며

어서 빨리 장치를 제거하고 음식을

마구마구 씹고 싶어하는 기분 잘 알아요

제가 그랬으니까요....ㅋㅋ

​

결론적으로 교정치료와 턱관절 질환은

연관성이 없다고 보기때문에

교정치료중이든 치료후든

질기고 딱딱한 음식을 피하고,

주기적으로 턱을 마사지 해주며,

이를 악물거나 턱을 괴거나 하는등의 

구강악습관을 피하여

건강한 턱관절을 유지해나가셨으면

좋겠습니다!

증상/치료, 궁금한 점이 있나요?

의사가 답변해 드려요!

💬 무엇이든 물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