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치료 후 통증 왜 생길까?
2025.07.30
조회 11
이 병원의 관련 치료상품

충치치료 검진
9,300원
신경치료 후 통증의 구분
신경치료 후 통증은 발생 기간에 따라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신경치료 직후의 통증
신경치료는 염증화된 치아내부 조직 (신경조직 및 혈관조직)을 제거하고 소독하는 작업입니다. 이 작업 중 뿌리 끝 주변 조직이 자극되면서 통증이 생기게 됩니다. 다소의 통증이 있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보통 타이레놀 등의 일반적인 진통제로 충분히 잡히는 정도 범위 내의 통증입니다. 다만 과도한 기구조작 혹은 약재가 넘어가서 생긴 뿌리 끝 주변 조직의 과자극으로 인한 통증은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신경치료 도중의 치아는 최대한 외력을 피해야 합니다. 이 기간 동안 신경치료를 받는 치아를 이용한 식사는 피해주시고 혀나 손가락으로 미는 행위는 하지마셔야 합니다.
2. 신경치료 2~4주 후 통증
치근단 조직이 치유되는 2~4주 가량의 기간 동안에는 다소의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식사가 조금 힘들고 계속 의식하게 됩니다. 대부분 선형적인 형태가 아닌 계단식으로 사라지게 됩니다. *이 때 온도에 대한 불편감은 신경치료가 끝난 직후 완전히 사라져야 정상입니다.
3. 신경치료 수 개월 후 통증
치근단 조직이 완전히 치유되고 난 후에도 지속적인 불편감을 느끼시는 경우 두 가지 가능성이 있습니다. 1. 보철물 보철물이 높이에 문제가 있는 경우 신경치료를 받은 치아 혹은 주변 치아가 불편해질 수 있으므로, 이 경우 보철물의 교합을 먼저 체크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2. 염증의 지속 혹은 재발 신경치료를 통해 염증이 완전히 제거가 안 된 경우 지속적인 통증이 남을 수 있습니다. 주신경관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한 경우, 치근단까지 완전히 도달하지 못한 경우, 뿌리 끝 금이 상존하는 경우 등 여러가지 경우의 수가 있기 때문에 재진단을 받아야 하는 상황입니다.
신경치료
신경치료는 술자가 손의 감각으로만 치료를 해야하는 blind technique이기 때문에 매우 난이도가 높고, 실패하는 원인도 다양합니다. 다음에는 언제 신경치료를 받아야만 하고 언제 신경치료를 피해야 하는지에 대해 다루어보겠습니다.